반응형
- 전기전자공학의 회로에서 빼놓을 수 없는 소자 , 커패시터(Capacitor)의 동작원리에 대한 간단한 소개를 해보겠다.
- 커패시터는 위와 같이 [2개의 도체판 + 유전체]로 구성이 되어있다. 따라서 유전체를 통과해서 전류가 흐르는 방식이 아닌, 다른방식으로 전류가 흐르게된다. 그림을 통해 확인해 보도록 하자.]
- 위의 그림은 중성상태의 커패시터이다. 좌우측 도체판의 전자, 양성자 갯수가 같다.
- 다음과 같이 전원이 연결되면, 양성자가 전원의 (+)극에서 출발한다. 도선을 따라서 커패시터의 도체판으로 도달하게 되고, 이 과정에서 반대편 도체에 있는 양성자를 밀어낸다. (척력). 이로인해, 밀려난 양성자가 다시 도선을 따라서 전원의 (-)극으로 들어오는 방식이다. (전자의 움직임으로 생각해도 동일한 방식이다.)
- 전원의 전압과 커패시터에 걸리는 전압이 동일해질 때까지 밀어내는 방식으로 전류가 흐르다가, 전압이 동일해지면 더이상 전류는 흐르지 않는다. (직류전원의 경우)
* 교류전원의 경우, 주기적으로 전원의 (+), (-)가 바뀌므로, 위와같은 원리로 전류가 지속적으로 흐를 수 있다. 하지만 직류전원의 경우, 커패시터가 충전되는 짧은시간까지만 전류가 흐르고, 그 이후에는 전류가 흐르지 않는다.
반응형
'Electric&Electronics > Electric Engineering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전기전자공학][NPN 트랜지스터]- [Active Mode 원리] (1) | 2020.03.15 |
---|---|
[전기전자기초설계] [1] (0) | 2019.08.25 |